네이버 블로그 작성 가이드 1편, 완전기초 접속부터 글쓰기까지

네이버 블로그 작성 가이드 1편

이전에 제가 인플루언서가 되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해 네이버 블로그 글쓰기 등 여러가지에 대한 포스팅을 했는데요. 오늘부터는 그대로 보고 따라할 수 있는 가이드를 마련해서 1부터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

확인 후 그대로 따라해보시면 어느정도 규모가 큰 블로그 까지는 어렵지 않게 도달하실 수 있습니다. 완벽히 초보자의 기준에서 작성해드리니, 만약 본인이 이미 어느정도 작성이 가능하다면 다음편으로 넘어가서 보셔도 좋겠습니다.

이 작성 가이드는 PC버전으로 진행합니다. 글 작성에 앞서, 블로거에게 추천하는 노트북에 대한 포스팅은 해당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.

내 블로그 접속하기

네이버 블로그 작성 가이드 로그인페이지 사진

네이버 블로그 작성가이드 1편은 가장 기초라고 할 수 있는, 블로그 접속부터 시작합니다. 뭐 이런 것 까지 알려주냐고 하실 수 있습니다만 실제로 본인 블로그에 들어가는 법조차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.

PC버전을 기준으로, 네이버 화면에서 로그인하면 위 사진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. 여기서 1이라고 표시해둔 ‘블로그’를 누르면 아래 메뉴가 펼쳐지게 되는데, 거기서 조금 더 아래부분 2라고 표시해둔 부분의 ‘내블로그’ 메뉴를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. 해당 메뉴를 클릭하면 바로 내 블로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.

또는 우측의 ‘글쓰기’를 통해서 바로 글을 작성하실 수도 있는데요. 우선 내 블로그 접속하느 ㄴ것을 1번 목표로 뒀으니 저는 내블로그 이동버튼으로 진행해보겠습니다.

내 블로그 메뉴 확인하기

네이버 블로그 작성 가이드 내 블로그 접속 캡처화면

네이버 블로그 작성 가이드 그 다음편으로 내 블로그에 접속했으면 우선 메뉴와 카테고리, 글쓰기 등을 체크해보는 것 입니다. 일단 내 블로그에 접속하면 위 사진과 같이 프로필 영역이 뜨는데, 이 경우 본인이 설정해둔 블로그의 형태에 따라 다 다르게 뜹니다.

이 때 사진 아래 파란색 박스를 표시해둔 ‘글쓰기’, ‘관리’, ‘통계’ 메뉴를 활용해 본인의 블로그를 꾸미거나 글쓰는 것이 가능합니다. 여기서 오늘은 글쓰기에 대한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릴 것 인 만큼, ‘글쓰기’ 메뉴를 눌러주세요.

글쓰기

네이버 블로그 작성 가이드 글쓰기 에디터 사진

네이버 블로그 작성가이드로, 글쓰기 에디터까지 들어왔습니다. 위 사진은 최신버전의 네이버 글쓰기 스마트에디터 화면으로, 한글로 잘 설명이 되어있어서 별달리 부연 설명이 필요없는 수준이긴 합니다. 그럼에도 메뉴에 대해 하나씩 안내를 드려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.

상단메뉴는 좌측의 ‘사진’부터 시작해 설명해나가겠습니다.

사진메뉴는 사진을 업로드 하는 기능입니다. 해당 메뉴를 누른 뒤 여러장의 사진을 복수선택해서 한꺼번에 올리는 것도 가능하며, 콜라쥬 등을 통한 배치도 가능합니다. 위 메뉴가 아닌 드래그 앤 드랍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SNS사진 기능은 네이버의 클라우드인 MYBOX에 업로드한 사진부터 시작해 연동해둔 인스타그램, 페이스북의 사진을 불러오는 기능입니다.

동영상은 동영상을 업로드 하는 기능입니다. 별다른 편집이 불가하며, 사진과는 달리 드래그앤 드롭으로 업로드가 불가해 꼭 해당 메뉴를 활용해야합니다.

스티커는 본문에 그림을 삽입하는 기능입니다. 이모티콘이라 생각하면 간편하며, 본인이 구매한 유료스티커 및 무료스티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농담으로 이야기하는 믿고 거르라는 네이버블로그 이모티콘 역시 이 스티커 기능을 활용한 결과입니다.

인용구는 블로거들이 ‘소주제’의 느낌으로, 본문 중간 사용하는 ‘템플릿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 가끔 큰 따옴표 사이 큰 글씨가 들어간 형태 또는 메모장처럼 중간에 제목을 설정하는 블로거를 보셨을 텐데요. 인용구 기능을 활용한 경우입니다.

구분선은 중간에 구분선을 넣어주는 기능입니다. 점선과 실선, 이중실선 등 다양한 형태로 넣을 수 있습니다.

장소는 지도를 삽입하는 기능으로, 어떤 가게에 방문했을 때 지도를 삽입하면 ‘네이버플레이스’와 리뷰 연동이 됩니다. 검색시 상단 노출이 되지 않는 블로거에게 지도를 통한 유입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유리한 기능입니다.

링크는 어떤 홈페이지의 링크를 넣을 때 활용하는 기능으로, 미리보기 썸네일화면을 생성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.

파일은 파일을 업로드 하는 기능입니다.

일정은 포스팅 내부에 시간에 맞춰 이벤트를 보여주는 템플릿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기능입니다.

소스코드는 코드를 입력하는 기능입니다만, 실제 작동이 가능한 부분은 아닙니다.

표/수식 은 문서 내 수식 또는 표를 입력하는 기능으로, 블로거들이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아닙니다.

내돈내산은 리뷰를 진행할 때 네이버예약을 통해 방문했을 경우 맛집 리뷰 등에 활용이 가능한 기능입니다. 아직 활성화 되지 않았습니다만, 리뷰가 쌓이게 되면 광고 글과 구분할 목적으로 베네핏이 생길 것으로 보여 적극 활용을 추천드립니다.

Leave a Comment